주식 거래, 정규장만으로는 부족하다고 느껴질 때가 있죠? 시간외 종가 거래가 그 해답이 될 수 있어요.
장전과 장후, 간단히 핵심만 짚어드릴게요.
바쁘신 분은 가장 아래 간단요약 보러가세요 !
아래 목차를 클릭하시면 해당 위치로 바로 이동합니다
목차
시간외 종가 거래시간과 방법
구분 | 시간 | 기준 가격 | 주문 방법 |
장전 시간외 | 08:30-08:40 | 전일 종가 | 지정가-장전시간외 |
장후 시간외 | 15:40-16:00 | 당일 종가 | 지정가-장후시간외 |
시간외 단일가 | 16:00-18:00 | 당일 종가 ±10% | 지정가-시간외단일가 |
시간외 종가 거래는 정규장 밖에서 주식을 사고팔 수 있는 기회예요. 장전 시간외는 아침 08:30부터 08:40까지 딱 10분간 전일 종가로 거래가 가능하고, 장후 시간외는 오후 15:40부터 16:00까지 20분간 당일 종가로 매매가 돼요. 주문은 증권사 앱에서 지정가로 설정한 뒤 장전시간외나 장후시간외를 선택하면 간단하죠. 장전은 전일 종가로만 거래되니까 가격 변동 없이 빠르게 매수나 매도할 수 있고, 장후는 당일 종가가 확정된 후라 안정적으로 접근할 수 있어요. 시간외 단일가는 16:00-18:00까지 10분 단위로 체결되는데, 당일 종가에서 ±10% 범위로 움직여서 좀 더 유연하죠. 키움증권 같은 경우는 주문 탭에서 시간외 단일가를 따로 선택해야 하니까 헷갈리지 않게 확인하세요!
주문 넣는 타이밍이 중요해요. 장전 시간외는 08:30에 바로 주문 넣는 게 좋고, 늦으면 체결이 안 될 수도 있어요. 왜냐면 시간 우선 원칙이 적용되니까 선착순으로 체결되거든요. 장후도 마찬가지로 15:40에 딱 맞춰서 넣으면 체결 확률이 높아져요. 단일가는 10분마다 체결되니까 원하는 가격대를 미리 설정해두고 기다리면 됩니다. 거래량은 정규장에 비하면 적지만, 급한 매매나 다음 날 흐름을 예측할 때 유용하죠. 수수료는 보통 정규장과 같아서 추가 부담은 없어요!
초보자라면 이렇게 해보세요. 예를 들어, 전일 종가가 10,000원인 주식을 장전 시간외에 매수하려면 08:30에 지정가로 10,000원에 주문 넣으면 돼요. 장후라면 당일 종가가 10,500원으로 끝났다고 치면 15:40에 그 가격으로 주문하면 됩니다. 단일가는 10,500원의 ±10%, 그러니까 9,450원에서 11,550원 사이에서 원하는 가격을 골라 넣는 거예요. 이렇게 하면 시간외 거래가 훨씬 쉬워질 거예요. HTS나 MTS에서 주문 유형 잘 확인하는 게 포인트!
장점과 단점을 알아두면 좋아요. 시간외 종가는 가격이 고정돼 있어서 변동성 걱정 없이 매매할 수 있지만, 거래량이 적어서 미체결될 가능성도 있어요. 반면 단일가는 가격 변동이 가능해서 호재나 악재 반영이 빠르죠. 다만 10분 기다리는 게 귀찮을 수 있고, 상한가나 하한가는 정규장 기준(±30%)까지만 적용돼요. 상황에 맞춰서 활용하면 매매 타이밍을 더 잘 잡을 수 있어요!
시간외 종가 체결과 확인 방법
구분 | 체결 원칙 | 확인 방법 | 특징 |
장전 시간외 | 시간 우선 | HTS/MTS 잔고 | 실시간 체결 |
장후 시간외 | 시간 우선 | HTS/MTS 잔고 | 실시간 체결 |
시간외 단일가 | 10분 단위 일괄 | HTS/MTS 단일가 화면 | 동시호가 방식 |
시간외 종가 체결은 시간 우선 원칙으로 진행돼요. 장전이든 장후든 가격은 고정돼 있어서 시간만 잘 맞추면 바로 체결되죠. 예를 들어 장전 시간외에 08:30에 주문 넣으면 그 순간 매도 호가가 있으면 실시간으로 체결되고, 없으면 기다려야 해요. 확인은 HTS나 MTS에서 잔고 탭 들어가면 바로 보이는데, 키움증권 기준으로 주문 내역에서 체결 수량이 업데이트되는 걸 보면 됩니다. 단일가는 10분마다 한 번씩 체결되니까 실시간은 아니고, 16:10, 16:20 이런 식으로 결과가 나와요. 미체결된 건 주문 내역에서 확인하면 돼요!
확인 방법은 간단하지만 세심함이 필요해요. 장전이나 장후는 잔고 화면에서 실시간으로 체결 여부가 뜨니까 바로 알 수 있어요. 시간외 단일가는 키움 HTS라면 0339번 화면, MTS라면 종목 상세에서 시간외 단일가 탭으로 들어가면 현재가와 체결량을 볼 수 있죠. 거래량이 적을 땐 미체결될 가능성이 높아서 주문 넣고 나서 꼭 확인하세요. 특히 단일가는 10분 단위로 체결되니까 타이밍 놓치지 않게 체크하는 게 중요해요!
체결이 안 될 때도 대비해야 해요. 거래량이 적으면 주문이 밀려서 미체결로 끝날 수 있어요. 장전 시간외는 전일 종가 기준이라 변동 없지만, 호가가 없으면 체결 안 되고, 장후도 마찬가지예요. 단일가는 ±10% 범위에서 움직이니까 호가 잔량을 보고 주문 넣는 게 좋아요. MTS에서 미체결 내역 보면 상태가 바로 뜨니까, 안 됐다 싶으면 다음 타임에 다시 시도해보세요. 실시간 확인이 생명이에요!
꿀팁 하나 드릴게요. 시간외 거래는 정규장처럼 활발하지 않아서 체결이 안 될 때가 많아요. 그러니까 주문 넣기 전에 호가 창을 보고 매수-매도 잔량을 체크하면 성공률이 높아져요. 키움 같은 경우 HTS에서 0339 화면으로 실시간 호가를 볼 수 있고, MTS는 종목 상세 화면에서 시간외 탭으로 확인 가능해요. 미체결 걱정된다면 거래량 많은 종목을 노리는 것도 방법이에요. 이렇게 하면 시간외 거래도 문제없죠!
시간외 종가 거래량과 상한가
구분 | 거래량 특징 | 상한가 기준 | 확인 방법 |
장전 시간외 | 정규장 대비 적음 | 전일 종가 고정 | HTS 거래량 탭 |
장후 시간외 | 정규장 대비 적음 | 당일 종가 고정 | HTS 거래량 탭 |
시간외 단일가 | 10분 단위 변동 | 당일 종가 +10% | HTS 단일가 화면 |
시간외 종가 거래량은 정규장에 비하면 확실히 적어요. 장전 시간외는 10분, 장후는 20분이라 거래량이 많을 수가 없죠. 보통 정규장 거래량의 1-5% 수준으로 보는데, 종목에 따라 다르긴 해요. 상한가는 장전과 장후에선 고정 가격이라 의미가 없고, 단일가에서만 당일 종가의 +10%로 올라갈 수 있어요. 확인은 HTS에서 거래량 탭이나 종목 상세 화면에서 실시간으로 보면 되는데, 키움 기준 0339 화면에서 체결량이 바로 뜨니까 편해요!
거래량이 적은 이유와 활용법을 알아두세요. 시간외는 참여자가 적어서 거래량이 정규장처럼 많지 않아요. 장전은 전일 종가로만 거래되니까 변동성이 없고, 장후도 당일 종가로 고정이라 큰 움직임은 없죠. 반면 단일가는 10분마다 가격 변동이 있어서 호재나 악재에 따라 거래량이 갑자기 늘어날 수 있어요. HTS에서 시간외 거래량 탭 보면 급등 종목도 체크할 수 있으니 다음 날 흐름 예측에 써보세요!
상한가 노리려면 단일가를 주목해야 해요. 장전과 장후는 가격이 고정이라 상한가 개념이 없지만, 단일가는 당일 종가에서 +10%까지 가능해요. 예를 들어 종가가 10,000원이면 11,000원까지 올라갈 수 있죠. 상한가 갔는지 확인하려면 HTS 단일가 화면에서 최고가를 보면 되고, 거래량이 많을수록 신뢰도가 높아요. 정규장 상한가(30%)까지는 안 가니까 그 점은 유의하세요!
실제 사례로 보면 이해가 쉬워요. 예를 들어, 삼성전자 장후 시간외 거래량이 5만 주 정도면 정규장 1,000만 주에 비하면 적은 편이죠. 단일가에서 호재 터지면 16:00-16:10 사이에 거래량이 10만 주로 뛸 수도 있어요. 상한가 갔는지 보려면 키움 MTS에서 시간외 탭 들어가서 등락률 확인하면 돼요. 거래량 적을 땐 조작 가능성도 있으니 조심해야 해요!
시간외 종가 매수와 매도 팁
구분 | 매수 팁 | 매도 팁 | 주의점 |
장전 시간외 | 08:30 빠르게 | 호재 시 매도 | 미체결 가능성 |
장후 시간외 | 15:40 즉시 | 급등 후 매도 | 거래량 부족 |
시간외 단일가 | 호가 확인 후 | 상한가 직전 | 10분 대기 |
매수는 타이밍이 생명이에요. 장전 시간외는 08:30에 딱 맞춰서 주문 넣는 게 최고예요, 늦으면 선착순에서 밀려서 체결 안 될 수 있거든요. 호재가 터졌을 때 전일 종가로 싸게 살 수 있는 기회니까 뉴스 체크하고 빠르게 움직이세요. 장후는 15:40에 바로 주문 넣으면 당일 종가로 매수 가능하고, 단일가는 호가 창 보고 매수 잔량 많은 가격대에 넣는 게 좋아요. 이렇게 하면 성공률 올라가요!
매도도 전략적으로 해야 해요. 장전 시간외는 밤사이 호재 나왔을 때 전일 종가로 빨리 파는 게 이득이고, 장후는 당일 급등했으면 15:40에 바로 매도 주문 넣어서 이익 실현하세요. 단일가는 상한가 직전에 매도 걸어두면 좋고, 10분마다 체결되니까 호가 변동 보면서 조정하면 더 효과적이에요. 거래량 적을 땐 미체결될 수 있으니 주의하세요!
주의점 꼭 챙기세요. 시간외는 거래량이 적어서 주문 넣어도 안 될 때가 많아요. 장전은 미체결되면 정규장까지 기다려야 하고, 장후도 마찬가지예요. 단일가는 10분 기다리는 게 귀찮을 수 있는데, 호가 잔량 없으면 체결 안 되니까 확인 필수예요. 키움 MTS에서 시간외 탭 보면 실시간 잔량 체크할 수 있으니 활용하세요. 급할 땐 정규장 노리는 것도 괜찮아요!
실전에서 써먹는 법 알려줄게요. 예를 들어, 테슬라 국내 상장주가 호재로 급등했으면 장후 15:40에 당일 종가로 매도 주문 넣고, 단일가에서 더 오를 것 같으면 16:00에 +5% 가격으로 매수 걸어보세요. 반대로 매도할 땐 상한가 근처에서 걸어두고 10분 기다리면 돼요. 거래량 적을 땐 소액으로 테스트해보고, 익숙해지면 본격적으로 해보세요. 이게 시간외 매매의 묘미예요!
시간외 종가 뜻과 활용
구분 | 정의 | 활용 사례 | 장점 |
장전 시간외 | 전일 종가 거래 | 호재 매수 | 가격 안정 |
장후 시간외 | 당일 종가 거래 | 급등 매도 | 빠른 대응 |
시간외 단일가 | ±10% 변동 거래 | 변동성 대응 | 유연성 |
시간외 종가는 정규장 밖 거래를 뜻해요. 장전은 전일 종가로, 장후는 당일 종가로 고정된 가격에 매매하는 거고, 단일가는 당일 종가에서 ±10%로 움직이면서 거래돼요. 장전은 밤사이 호재 나왔을 때 전일 종가로 매수하는 데 유용하고, 장후는 당일 급등 후 종가로 매도할 때 좋아요. 단일가는 변동성이 있어서 다음 날 흐름 예측에 쓰기 딱이죠!
활용 사례를 보면 이해가 빨라요. 예를 들어, 삼성전자 호재가 밤에 터졌으면 장전 08:30에 전일 종가로 매수해서 정규장 오르면 팔 수 있어요. 장후는 당일 종가가 5% 올랐으면 15:40에 바로 매도해서 이익 챙기고, 단일가는 16:00에 +8% 가격으로 매수해서 다음 날 갭상 노릴 수 있죠. 상황에 맞춰서 쓰면 돈 버는 기회가 늘어나요!
장점이 확실해서 써볼 만해요. 장전은 가격 안정돼 있어서 변동 걱정 없고, 장후는 빠르게 대응할 수 있어서 급등락 놓치지 않아요. 단일가는 유연한 가격대로 움직여서 호재-악재 반영이 빠르죠. 단점이라면 거래량이 적어서 체결이 안 될 수 있다는 거예요. 그래도 정규장 못지않게 유용하니까 꼭 익혀두세요!
실제 상황에서 써보세요. 예를 들어, 테슬라 관련주가 장후에 급등했으면 15:40에 매도 주문 넣고, 단일가에서 더 오를 것 같으면 16:00에 매수 걸어두세요. 장전은 아침 뉴스 보고 전일 종가로 빠르게 매수하면 정규장 이득 볼 확률 높아져요. 타이밍과 호가만 잘 맞추면 시간외 거래로도 충분히 승률 올릴 수 있어요!
마무리 간단요약
- 시간외 종가, 시간 잘 맞추세요. 장전 08:30-08:40, 장후 15:40-16:00, 단일가 16:00-18:00이니까 늦지 않게 주문 넣어요.
- 체결은 선착순이 기본이에요. 장전-장후는 시간 우선, 단일가는 10분 단위로 체결되니까 타이밍 놓치지 마세요.
- 거래량 적은 건 감안해야 해요. 정규장보다 적어서 미체결될 수 있으니 호가 확인 필수예요.
- 상한가는 단일가에서만 가능해요. 장전-장후는 고정 가격, 단일가는 ±10%까지 움직여요.
- 활용 잘하면 돈 벌어요. 호재-악재 빠르게 대응하면 정규장 못지않게 유용하니까 써보세요.
댓글